천사와 악마 - 그림으로 읽기

 






명화와 함께 인간 존재의 근원을 탐구하는 새롭고 흥미로운 지식여행!

성서에 묘사된 창조의 순간부터 최후의 날까지
천사와 악마가 가진 다양한 상징을 친절하게 풀어낸 명화 안내서


로사 조르지| 정상희 역
2010-05-10|ISBN 978-89-7084-426-8|







 
 

천사와 악마, 그 비밀의 베일을 벗긴다
우리는 천사와 악마의 모습을 머릿속에 쉽게 떠올릴 수 있다. 커다란 날개를 단 천사는 평화로운 천국의 하늘을 날아다닌다. 반대로 악마는 머리에 뿔을 달고 무시무시한 표정을 지으며 지옥불 앞에서 죄인들을 고문하고 있다. 그런데 실재하지 않는 천사와 악마에 대해 공통되는 구체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은 왜일까? 그것은 성서와 그리스도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문학작품, 그리고 이에 영감을 얻은 수많은 예술가들이 남긴 그림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그림은 이미지를 명료하게 보여줄 뿐만 아니라 많은 상징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안에서 다양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이 책은 천사와 악마라는 영적 창조물의 본질과 모습, 그들이 살아가는 장소와 시대의 흐름 속에서 그들의 여정은 어떠했는지를 명화를 통해 읽어낸다.

지상에서 천국으로 이어지는 이야기
이 책은 전체적으로 천사와 악마라는 방대한 주제를 시간과 지역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지상에서 천국으로 이어지는 행로를 따라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장에서는 사후 세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에덴동산, 지옥, 연옥, 낙원 등의 개념을 성서와 문학작품을 통해 알아보고 두 번째와 세 번째 장은 선과 악의 기로에서 그 선택에 따라 인간의 행로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보여준다. 이어서 삶과 죽음, 죽음과 사후 세계와 관련된 이미지를 통해 종말론적인 믿음에 대해 이야기하며 지옥의 군대에 대한 장은 유대-그리스도교적인 전통에 근거한 악마와 악령에 관한 내용으로 악마의 행동과 모습 속에서 ‘악’이라는 정신에 대한 도상을 찾아본다. 마지막 장에서는 천사의 이미지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천사의 모습과 성서 이야기 속에서 등장하는 천사들의 활동상을 정리한다. 이렇듯 천사와 악마라는 주제에서 파생된 다양한 이야기들을 다양한 시대, 장소, 특징, 신학적 개념에 따라 다양하게 소개함으로써 입체적인 이해를 끌어낸다.

선과 악, 천국과 지옥… 그리고 천사와 악마에 대한 모든 것
천사와 악마라는 개념을 살펴보면 그 안에는 나름의 체계가 세워져 있고 다양한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에덴동산을 지키는 천사와 지옥을 관장하는 악마, 천사는 그들의 직분과 위치에 따라 9단계로 계급이 나눠져 있으며 악마 역시 하느님에게 대항해 반역을 일으킨 반역천사 루시퍼를 비롯해 사탄, 마왕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를 구분하고 각각의 특징까지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 책은 천사, 악마와 관련된 명화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이미지를 읽어내고 그 안에 담긴 의미까지 새롭게 발견하는 숨바꼭질 같은 책이다. 천사와 악마를 비롯해 에덴동산과 지옥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수호 천사, 음악 천사와 같은 천사들의 모습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악마를 상징하는 동물에는 무엇이 있는지 등 알면 알수록 흥미로워지는 천사와 악마의 세계로 떠나보자.


저자소개

로사 조르지(Rosa Goirgi)
도상학을 연구하는 미술사학자이며 미술사 교사로도 활동했다. 주로 그리스도교 도상학에 대한 글을 쓰며 저서로는 <카라바조>, <벨라스케스>, <엘 그레코> 등이 있다.


정상희는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조각학과와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한 후 오하이오 대학교 비교예술학과 박사과정과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 박사과정을 수학했다. 서울시립대학교, 홍익대학교, 고려대학교, 강남대학교, 안양대학교, 세종대학교 등에서 미술사와 건축사를 강의했으며, 대구대학교 회화과 겸임교수로 있다. 옮긴 책으로는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세계 건축 1001』(2009), 『Art: 세계미술의 역사』(2009), 『천사와 악마, 그림으로 읽기』(2010), 『팝아트, 예술과 상업의 경계에 서다』(2011) 등이 있으며. 저서로 『시카고와 인천, 도시 만나기 - 시각예술로서 도시 읽기』(2015)가 있다.  인천아트플랫폼 1기 입주 평론가/기획자로서, 미술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아도크리에이션(ADOcreation)의 예술 공간/연구소 spaceADO의 아트디렉터이다. 


도서 펼침면 보기

Comments

Popular Posts